리눅스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소유권을 바꾸기 위해서 사용되는 명령어는 chown 입니다. 파일, 폴더, 그리고 하위 폴더를 포함해서 소유권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파일의 소유권 바꾸기 먼저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ls -al 이라는 명령어와 옵션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먼저 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해서 (저 같은 경우 테스트로 /home/bbb/dev/test 로 이동해서) ls -al을 입력하면 -rw------- 1 bbb bbb 0 Mar 23 04:30 a1.py 위와 같이 나오고 있습니다. 소유권자가 bbb, 그룹 식별자가 bbb입니다. 이것을 소유권자 ccc, 그룹 식별자 ccc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root 권한에서 chown ccc:ccc..
Too many open files Tomcat Error and NoClassDefFoundError 에러가 발생할 때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OS에서 파일 갯수를 제한하고 있는데 이걸 늘려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centos 상에서 ulimit 값은 아래와 같이 디폴트로 설정되어있습니다. #ulimit -a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설정값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 값은 실행중인 파일이나 프로세스가 증가함에 따라 문제가 일으킬 수 있습니다. open files 값이나 max user processes 값이 적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etc/security/limits.conf로 들어가서 제일마지막에 root hard nofile 65535root soft nofile 65535root hard npr..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 1. 개요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마치 메모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이는 물리적 메모리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이 기법은 하나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프로그램의 전체가 메모리(RAM)에 올라와 실행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을 불러와 실행하는 기법을 기본으로 한다. 2. 기법 커널은 실제 메모리(RAM)에 올라와 있는 메모리 블록들 중에 당장 쓰이지 않는 것을 디스크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늘린다. 만일 디스크에 저장되었던 메모리 블록이 다시 필요하게 되면 그것을 다시 실제 메모리안으로 올려지며, 대신 다른 블록이 디스크로 내려가게 된다. 이런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없고, 그저 많은 양의..
1. 간단하게 보기(ps -ef) 명령어 : ps -ef --sort -rss [root@pc~]# ps -ef --sort -rss 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MDmysql 1154 1064 99 May03 ? 213287-12:54:30 /usr/libexec/mysqld --basedir=/usr --datadir=/var/lib/mysql --user=mysql --lapache 26245 1202 0 03:48 ? 00:00:05 /usr/sbin/httpdapache 26247 1202 0 03:48 ? 00:00:07 /usr/sbin/httpd... (생략)root 741 2 0 May03 ? 00:00:00 [kmpath_handlerd]root 768 2 0..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df"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이때 명령어에 "h"(--human-readabled의 약자) 옵션을 주면 더 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옵션 주기 전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dev/sda1 472332568 80815616 367500724 19% /none 4 0 4 0% /sys/fs/cgroupudev 4044400 4 4044396 1% /devtmpfs 817632 1160 816472 1% /runnone 5120 0 5120 0% /run/locknone 4088152 488 4087664 1% /run/shmnone 102400 72 102328 1% /r..
Ι■ 일반적인 커널에 대한 정보[root@localhost ~]# uname -aLinux localhost.localdomain 2.6.32-71.el6.x86_64 #1 SMP Fri May 20 03:51:51 BST 2011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Ι■ OS버전에 대한 정보 1[root@localhost ~]# cat /etc/issueCentOS Linux release 6.0 (Final) Kernel \r on an \m Ι■ OS버전에 대한 정보 2[root@localhost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Linux release 6.0 (Final) Ι■ OS버전에 대한 정보 3[root@localhost ~]# cat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