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소유권을 바꾸기 위해서 사용되는 명령어는 chown 입니다. 파일, 폴더, 그리고 하위 폴더를 포함해서 소유권을 바꾸는 것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파일의 소유권 바꾸기 먼저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ls -al 이라는 명령어와 옵션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먼저 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해서 (저 같은 경우 테스트로 /home/bbb/dev/test 로 이동해서) ls -al을 입력하면 -rw------- 1 bbb bbb 0 Mar 23 04:30 a1.py 위와 같이 나오고 있습니다. 소유권자가 bbb, 그룹 식별자가 bbb입니다. 이것을 소유권자 ccc, 그룹 식별자 ccc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root 권한에서 chown ccc:ccc..
Too many open files Tomcat Error and NoClassDefFoundError 에러가 발생할 때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OS에서 파일 갯수를 제한하고 있는데 이걸 늘려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centos 상에서 ulimit 값은 아래와 같이 디폴트로 설정되어있습니다. #ulimit -a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설정값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 값은 실행중인 파일이나 프로세스가 증가함에 따라 문제가 일으킬 수 있습니다. open files 값이나 max user processes 값이 적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etc/security/limits.conf로 들어가서 제일마지막에 root hard nofile 65535root soft nofile 65535root hard npr..
윈도용 톰캣 7을 다운받으면 안에 tomcat7.exe 와 tomcat7w.exe 파일이 있다. (톰캣6 은 tomcat6.exe, tomcat6w.exe) 각각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tomcat7.exe Tomcat7 을 NT 서비스로 구동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으로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다. //IS//serviceName - 서비스 설치//US//serviceName - 서비스 파라미터 갱신//DS//serviceName - 서비스 삭제//SS// Stop the service//RS// Run the service. Called only from ServiceManager//TS// Run the service as consol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