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gwin을 사용하기에 앞서.. FALINUX의 제품을 사용하면서 개발하기 쉬운 통합 개발 환경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클립스(Eclipse)와 시그윈(Cygwin)을 필요로 합니다. 시그윈(Cygwin)은 윈도우에서 리눅스 환경을 구성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Forum에서 소개중인 coLinux 및 가상 PC를 통한 환경이 리눅스 개발 환경에 가깝지만, 이클립스(Eclipse)에서 CDT 컴파일 환경이 지원된다는 점에서 통합 개발 환경이 목표인 FAIDE 개발에 좀더 용이 합니다. 시그윈(Cygwin)이 FALINUX 제품의 Ezboot와 Kernel, 어플리케이션을 컴파일 하기 위한 환경으로 현재까진 부족함이 없다고 판단하여, 다운로드 받아서 압축을 풀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하고자 합니다. 먼저..
간혹 윈도우 바로가기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때가 있는데,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시작 → 검색 창에 cmd.exe를 입력 프로그램 아래의 cmd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아래의 내용을 복사한 다음 명령 프롬프트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붙여넣기 @echo off taskkill /f /im explorer.exe attrib %userprofile%\appdata\local\iconcache.db -s -r -h del /q %userprofile%\appdata\local\iconcache.db start explorer.exe exit 재부팅 후 아이콘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
윈도용 톰캣 7을 다운받으면 안에 tomcat7.exe 와 tomcat7w.exe 파일이 있다. (톰캣6 은 tomcat6.exe, tomcat6w.exe) 각각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tomcat7.exe Tomcat7 을 NT 서비스로 구동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으로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다. //IS//serviceName - 서비스 설치//US//serviceName - 서비스 파라미터 갱신//DS//serviceName - 서비스 삭제//SS// Stop the service//RS// Run the service. Called only from ServiceManager//TS// Run the service as console application ..
폴더의 깊이가 너무 깊거나 파일이름 또는 확장명이 윈도우즈가 허용하는 범위를 넘어가면 파일의 변경 및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Ι■ 일단 cmd 창을 열고 해당 폴더가 있는 경로로 이동 후 다음의 커맨드를 실행한다. mkdir tmp_dir robocopy tmp_dir {지울 폴더명} /s /mir rmdir tmp_dir rmdir {지울 폴더명} 그래도 계속 남아있다면 윈도우즈 창에서 다시 삭제하면 됩니다.